가난한 농촌에서 선진국으로: 새마을운동의 여정

한국 이야기

30/05/2025 12:38

1960~70년대 한국의 농촌은 여전히 가난하고 낙후되어 있었으며, 기본적인 인프라도 부족한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정부는 농촌 생활을 개선하고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획기적인 운동인 새마을운동(새마을 운동) 을 전개했습니다.

새마을운동의 탄생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은 새마을운동을 국가 전략으로 공식 발표했습니다. 근면(勤勉), 자조(自助), 협동(協同) 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내세운 이 운동은 단순한 경제·사회 개혁을 넘어, 농촌 주민들의 사고방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국민운동이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 - 새마을운동

농촌을 변화시키는 첫걸음

처음 정부는 각 마을에 시멘트 335포를 제공하고,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이를 활용하도록 했습니다. 대부분의 마을은 이 시멘트를 이용해 마을길을 포장하고, 다리를 놓고, 주택을 보수하는 등 공동의 이익을 위한 사업을 펼쳤습니다.

새마을운동은 한국 농촌의 인프라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부는 지원하되, 주민이 주도하는’ 방식은 농민들의 자발성과 책임감을 키웠고, 성과를 눈으로 확인한 다른 마을들도 뒤따르면서 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

10년도 채 되지 않아 새마을운동은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초가집이 줄고, 슬레이트 지붕과 콘크리트 주택이 늘어남

  • 농촌의 도로, 다리 등 교통 인프라 개선

  • 농업 생산성 및 가구 소득 향상

  • 교육 수준 상승,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 등

새마을운동은 한국이 단기간에 경제 발전을 이루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국가 재건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국경을 넘어선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은 한국을 넘어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여러 국가에 공유되며 국제 협력 모델로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베트남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새마을운동을 도입해 지역개발과 주민역량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호치민시에서 새마을 전시관이 개관되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한국 정부와 전국 새마을회 및 광주 새마을회 등의 협력으로 일부 지방에서 새마을 시범마을 사업이 진행된 바 있습니다.

광주 새마을회는 전남·광주 베트남교민회와 협력 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AI 경쟁에서 ‘한강의 기적’ 재현 꿈꾼다…미·중과 어깨 나란히 도전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인공지능(AI)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이 ‘세 번째 주자’로 부상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놓고 있다.
30-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오픈AI에 도전하는 한국의 5대 토종 인공지능

한국이 구글과 오픈AI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맞서기 위해 자체 문화와 특성을 반영한 초거대 언어모델(LLM)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5개 국내 대표 기업을 선정해 지원에 나서며 ‘토종 AI’ 육성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본격화했다. 
30-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미국의 투자 요구에 이재명 대통령 “1997년 같은 금융위기 우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투자 요구를 보호장치 없이 수용할 경우, 1997년 외환위기와 유사한 금융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3-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IQ 204 ‘천재소년’ 백강현, 옥스퍼드대 지원 준비 소식 전해

IQ 204로 알려진 한국의 천재소년 백강현(12)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입학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15-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한국 대기업 ‘재벌’에서 본 빈그룹의 부채 이야기

한국의 재벌들은 산업화 과정에서 매우 높은 금융 레버리지를 활용했으며, 이는 현재 산업 부문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베트남 빈그룹(Vingroup)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15-09-2025 한국 이야기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