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 242명 태운 인도 항공기 이륙 직후 추락… 최소 110명 사망

공지사항

12/06/2025 23:35

승객 242명 태운 인도 항공기 이륙 직후 추락… 최소 110명 사망

6월 12일 오후,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 국제공항을 출발한 에어인디아 여객기 AI171편이 이륙 직후 추락해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해당 항공기는 총 242명을 태우고 있었으며, 현지 보도에 따르면 최소 11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과 NDTV 등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사고는 이륙 약 5분 후 발생했다. 항공기에서 갑작스럽게 회색 연기가 발생한 뒤, 아마다바드시 메가니나가르 지역의 주택가로 추락해 큰 충격을 주었다. 추락 지점은 구자라트 주립 BJ 의과대학 기숙사로, 당시 건물에 머물던 의대생 다수가 사망했다.

비행정보 추적 사이트 플라이트레이더24(FlightRadar24)에 따르면, 항공기는 이륙 후 1분도 채 지나지 않아 레이더에서 사라졌으며, 그 직전 긴급 구조 신호인 ‘메이데이(Mayday)’를 송신했다.

인도 민간항공국(DGCA)은 이번 항공편에 승객 230명, 조종사 2명, 승무원 10명 등 총 242명이 탑승했다고 밝혔다. 에어인디아는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탑승자 국적을 공개했으며, 인도인 169명, 영국인 53명, 포르투갈인 7명, 캐나다인 1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인은 탑승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사고 직후 인도 정부는 국가재난대응군(NDRF) 6개 팀 180여 명을 간디나가르와 바라다에서 현장에 급파하여 구조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장 영상에서는 주택가를 뒤덮은 검은 연기 기둥이 포착되었으며, 긴 항로 국제선 특성상 연료 적재량이 많아 화재 피해가 더욱 커졌다고 NDTV는 전했다.

아마다바드 경찰청장 G.S. 말릭은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히며 “탑승자 외에도 인근 주민들이 다수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사고 항공기는 보잉 787 드림라이너 기종으로, 2011년부터 전 세계에서 약 1,175대가 운항 중이며, 이번 사고는 해당 기종이 도입된 이후 첫 추락 사례로 CNN은 보도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X를 통해 “아마다바드에서 발생한 참사에 깊은 슬픔을 느낀다. 피해자와 유가족께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며 “중앙정부가 구조 활동을 총력 지원 중”이라고 밝혔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영국 국민이 탑승한 항공편이 아마다바드에서 추락한 비극적인 상황에 깊은 슬픔을 느낀다”며 “모든 피해자와 가족에게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다.

에어인디아 회장 N. 찬드라세카란은 “이번 사고로 희생된 분들의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긴급대응센터를 가동했으며, 탑승객 가족 지원팀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항공사는 관련 상황을 계속 파악 중이며, 향후 추가 정보를 공지할 예정이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현대차, 샤오미 전기차 연구 착수

현대차가 샤오미 SU7를 연구 목적으로 경기도 화성 연구개발센터와 서울 본사에서 평가 중이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청궁-II 업그레이드로 미사일 방어망 강화

한국이 청궁-I 방공 시스템을 보다 강력한 청궁-II로 업그레이드하여 항공기뿐만 아니라 탄도미사일까지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한미 연합훈련 조정 의사 표명…북한 달래기 의도? 미국은 즉각 경고

7월 28일,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은 한미 연합군사훈련 조정안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북한의 ‘찬물’에 대한 한국의 반응

북한은 7월 28일 “어떠한 화해 정책에도 관심이 없으며, 한국이 적대적인 정책을 유지하는 한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화 의지를 ‘찬물’로 식힌 북한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의 대응은 비교적 ‘유연한’ 모습을 보였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삼성전자, 테슬라와 22.8조 원 규모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 체결…역대 최대 파운드리 수주

삼성전자, 테슬라와 22.8조 원 규모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 체결…역대 최대 파운드리 수주 삼성전자는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와 약 22조8천억 원(약 165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삼성 파운드리 사업부 역사상 최대 규모로, 계약 기간은 2033년 12월 31일까지이며, 2024년 삼성전자 연간 매출의 약 7.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해당 반도체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Taylor)에 새롭게 건설 중인 삼성 공장에서 생산되며, 테슬라가 자체 설계한 차세대 AI6 칩이 주력 제품이 될 예정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삼성의 텍사스 공장은 테슬라의 AI6 칩 전용 생산 라인이 될 것이며, 이는 매우 전략적인 협력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머스크는 테슬라가 생산 최적화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본인이 직접 생산 진행 상황을 감독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보안 계약에 따라 초기에는 고객사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후 머스크가 직접 테슬라가 계약 당사자임을 밝히면서 파장을 일으켰다. 이번 발표는 최근 부진했던 삼성 파운드리 부문의 회복 가능성을 열어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세계 1위이지만, 파운드리 시장에서는 글로벌 점유율 약 7.7%로, 대만의 TSMC(점유율 67.6%)에 비해 큰 격차가 있다. 이번 소식이 전해지자 삼성전자 주가는 서울 증시에서 급등하며, 일부 시장에서는 6%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6.8%까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올 들어 총 주가 상승률은 약 31%에 달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계약이 삼성의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삼성전자가 추진 중인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의 상용화와 맞물려, 텍사스 공장의 생산 능력 확대와 신규 고객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초기 단계에서 수율(yield) 문제를 겪고 있어, 이번 테슬라 계약에는 2나노 공정이 아닌 기존의 성숙 공정이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28-07-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