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입국 후 행방불명된 한국인 80명…정부 “안전 여부 확인 중”
15/10/2025 09:28
올해 들어 8개월 동안 약 80명의 한국인이 캄보디아에 입국한 뒤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일부는 현지 온라인 범죄 조직에 감금되거나 강제 노동에 동원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외교부 관계자는 14일 “1월부터 8월까지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이 접수한 한국인 관련 사건 신고 건수는 330건에 달한다”며 “이들 대부분은 현지에서 발생한 조직적 온라인 사기나 납치 피해 사례”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피해 신고는 캄보디아 현지인뿐 아니라 한국 내 가족이나 지인으로부터도 접수됐다”며 “현재 상당수 사건은 피해자 신원이 확인되어 종결 처리됐으나, 약 80명의 소재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가운데 일부는 현지 경찰의 수사로 구금 상태에서 벗어나거나 가족과 연락이 닿은 것으로 파악됐지만, 실질적인 안전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는 지난 9월 17일, 한국인 3명이 현지 사기 조직의 핵심 인물로 체포되기도 했다.
한국 국회의원 윤후덕 의원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은 21건이었으나, 2024년에는 221건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최근 현지에서 한 한국인 대학생이 납치·고문 끝에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도 커지고 있다.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다수의 피해자들은 ‘고수입 사무직’이나 ‘번역·데이터 입력·SNS 관리’ 등의 허위 구인 광고에 속아 캄보디아로 넘어갔다가 현지에 도착한 후 감금되어 온라인 사기나 협박 등 불법 활동에 강제로 가담시키는 경우가 많다.
다만, 외교부는 “모든 행방불명자가 피해자인 것은 아니다”라며 “일부 한국인은 자발적으로 온라인 범죄 조직에 참여한 혐의로 현지 경찰에 체포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7월과 9월 캄보디아 경찰의 대규모 단속 과정에서 한국인 약 90명이 체포됐다. 이 중 일부는 이미 본국으로 송환됐으며, 약 60명은 여전히 캄보디아에서 구금 중이다.
한국 정부는 현재 캄보디아 당국과 협의를 통해 이들의 조속한 송환을 추진 중이며, 귀국 후 국내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용의자와 피해자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며 “현재 추가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8월 22일 가족과의 연락이 두절된 30대 남성 1명이 캄보디아 입국 후 실종된 사건을 새로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유재성 경찰청 차장은 13일 “캄보디아와의 경찰 공조가 다른 동남아 국가들보다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외교부 및 관계 부처와 협조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최근 캄보디아에서 잇따르고 있는 납치 사건이 국민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정부는 신속히 모든 조치를 취해 국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오는 15일 외교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합동 대응팀을 캄보디아에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캄보디아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상향도 검토 중이다.
일부 국회의원들은 “정부가 보다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한국의 대(對)캄보디아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을 압박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캄보디아는 한국의 주요 ODA 수혜국 중 하나로, 내년 지원 규모는 약 4,000억 원(약 2억9,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홍한 기자 / 출처: 코리아타임즈, AF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