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데이터센터 화재… 백업 없이 정부 데이터 858TB ‘영구 손실’ 우려
10/10/2025 10:10
한국 정부가 대전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해 약 858테라바이트(TB) 규모의 핵심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잃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문제의 심각성은 단순한 화재 피해 규모를 넘어, 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백업 시스템이 전혀 없었다는 사실에 있다.
9월 26일 발생한 이번 화재는 5층 서버실의 배터리 화재에서 시작되어 순식간에 주요 설비를 덮쳤다. 화재로 96개의 주요 시스템이 손상되었으며, 특히 정부 문서 공유용 클라우드 시스템인 **‘G-드라이브(G-Drive)’**가 완전히 파괴됐다.
125개 기관, 12만5천 명이 사용한 정부 클라우드
G-드라이브는 2017년 정부가 공무원의 업무 문서 저장과 공유를 위해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글의 동일 명칭 서비스와는 무관하다.
공무원 1인당 30GB의 저장 공간이 배정되어 있었으며, 화재 당시 74개 부처 및 산하기관의 12만5천 명이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번에 손실된 데이터는 총 858TB, 이는 A4용지 약 4495억 장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해당 데이터에는 각 부처의 회의록, 국회 문서, 인사기록, 징계 자료 등 지난 8년간의 행정 문서와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용량이 커서 백업 불가”… 관리 부실 지적
내무안전부 관계자는 “데이터 용량이 워낙 커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 중, G-드라이브를 제외한 95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형태의 백업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백업 부재 결정은 명백한 관리 실패로, 단순한 화재를 국가적 정보 재난으로 확대시켰다”고 지적했다.
인사혁신처 업무 마비… “8년치 기록이 하루 만에 사라져”
G-드라이브를 가장 활발히 사용하던 인사혁신처는 현재 업무가 거의 중단된 상태다. 한 관계자는 “그동안 모든 업무 자료를 G-드라이브에 저장했는데, 단 하룻밤 사이에 8년치 기록이 사라졌다”며 “직원들이 지금은 각자의 컴퓨터와 이메일, 종이 문서에서 남은 자료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인사혁신처는 현재 민간 데이터 복구 전문업체와 협력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복구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복구율 17.8%… 완전 정상화까지 수개월 전망
화재 발생 6일이 지난 시점에서 **피해 네트워크 647개 중 115개(17.8%)**만 복구가 완료됐다. 정부는 남은 시스템을 대구 분원으로 이전해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며, 완전한 정상화에는 약 한 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G-드라이브의 경우 백업 자체가 없어 “복구” 작업은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다.
“데이터 백업은 선택 아닌 필수”
이번 사태는 대규모 데이터 관리에서 백업의 중요성을 일깨운 사례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정부 핵심 시스템에 백업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기술 문제가 아니라 관리·책임의 문제”라며 “공공 정보의 보존은 단순한 행정 효율성을 넘어 국가 신뢰와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는 한국 정부의 디지털 행정 인프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동시에, ‘백업 없는 디지털화’의 위험성을 드러낸 사건으로 남게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