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샤오미 전기차 연구 착수

공지사항

29/07/2025 10:14

현대차가 샤오미 SU7를 연구 목적으로 경기도 화성 연구개발센터와 서울 본사에서 평가 중이다.

7월 16일, 현대차 서울 양재사무소로 운송되는 샤오미 SU7 Max 차량이 목격됐다. 이 차량은 서초구청에서 발급한 임시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으며, Bloter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는 연구 목적으로 임시 운행에 대한 공식 승인을 이미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치는 현대차가 해외 전기차 모델, 특히 샤오미와 같은 중국 자동차 제조사의 차량까지 비교 평가 범위를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SU7는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판매되지 않지만, 현대차는 내부 평가를 위해 여러 대를 직접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Xe điện Xiaomi SU7 trên xe vận chuyển đến trung tâm của Hyundai. Ảnh: Auto-home

현대차로 운송 중인 샤오미 SU7 전기차. 사진: Auto-home

이번 SU7 분석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중국 전기차 제조사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올해 초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은 회사 회의에서 "테슬라뿐만 아니라 급성장하고 있는 BYD와 같은 경쟁자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피할 수 없는 도전이 다가오고 있다"며 전기차 시장 변화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현대차의 유형자산 투자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Bloter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의 유형자산은 2023년 38조 9천억 원(약 281억 달러)에서 2025년 1분기 44조 8천억 원(약 324억 달러)으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 유형자산 투자는 2조 800억 원(약 15억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늘었다. 현대차는 전기차 수입 비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SU7는 이러한 대규모 R&D 투자 계획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Một chiếc Xiaomi SU7 màu trắng cũng từng bị bắt gặp gần trung tâm của Hyundai hồi tháng 3. Ảnh: Autospy

지난 3월에도 현대차 연구소 인근에서 흰색 샤오미 SU7 차량이 목격됐다. 사진: Autospy

현대차는 SU7와 같은 모델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통해 미래 개발 방향,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인포테인먼트 설계에 반영할 계획이다. SU7의 하이퍼OS(HyperOS)는 현대차의 블루링크 커넥트(BlueLink Connect) 시스템과 비교되며 향후 디지털 콕핏 디자인의 참조 지점이 될 수 있다.

현대차는 2025년에 24조 3천억 원(약 176억 달러)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 중 절반 가까이가 연구개발에 배정됐다. 향후 강남대로 UX 스튜디오 등 다양한 거점을 활용해 새로운 차량 개발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청궁-II 업그레이드로 미사일 방어망 강화

한국이 청궁-I 방공 시스템을 보다 강력한 청궁-II로 업그레이드하여 항공기뿐만 아니라 탄도미사일까지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한미 연합훈련 조정 의사 표명…북한 달래기 의도? 미국은 즉각 경고

7월 28일,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은 한미 연합군사훈련 조정안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북한의 ‘찬물’에 대한 한국의 반응

북한은 7월 28일 “어떠한 화해 정책에도 관심이 없으며, 한국이 적대적인 정책을 유지하는 한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화 의지를 ‘찬물’로 식힌 북한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의 대응은 비교적 ‘유연한’ 모습을 보였다.
29-07-2025 공지사항
photo

삼성전자, 테슬라와 22.8조 원 규모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 체결…역대 최대 파운드리 수주

삼성전자, 테슬라와 22.8조 원 규모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 체결…역대 최대 파운드리 수주 삼성전자는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와 약 22조8천억 원(약 165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삼성 파운드리 사업부 역사상 최대 규모로, 계약 기간은 2033년 12월 31일까지이며, 2024년 삼성전자 연간 매출의 약 7.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해당 반도체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Taylor)에 새롭게 건설 중인 삼성 공장에서 생산되며, 테슬라가 자체 설계한 차세대 AI6 칩이 주력 제품이 될 예정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삼성의 텍사스 공장은 테슬라의 AI6 칩 전용 생산 라인이 될 것이며, 이는 매우 전략적인 협력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머스크는 테슬라가 생산 최적화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본인이 직접 생산 진행 상황을 감독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보안 계약에 따라 초기에는 고객사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후 머스크가 직접 테슬라가 계약 당사자임을 밝히면서 파장을 일으켰다. 이번 발표는 최근 부진했던 삼성 파운드리 부문의 회복 가능성을 열어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세계 1위이지만, 파운드리 시장에서는 글로벌 점유율 약 7.7%로, 대만의 TSMC(점유율 67.6%)에 비해 큰 격차가 있다. 이번 소식이 전해지자 삼성전자 주가는 서울 증시에서 급등하며, 일부 시장에서는 6%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6.8%까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올 들어 총 주가 상승률은 약 31%에 달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계약이 삼성의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삼성전자가 추진 중인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의 상용화와 맞물려, 텍사스 공장의 생산 능력 확대와 신규 고객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초기 단계에서 수율(yield) 문제를 겪고 있어, 이번 테슬라 계약에는 2나노 공정이 아닌 기존의 성숙 공정이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28-07-2025 공지사항
photo

북한, 한국의 화해 노력에 관심 없다고 선언

북한 당국자는 한국의 어떤 화해 정책에도 관심이 없으며, 서울이 “심각한 오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8-07-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