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 대참사 이후 데이터 위기
14/10/2025 09:35
대전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본관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공용 클라우드 저장소인 ‘G-드라이브(G-Drive)’ 시스템이 전소되면서, 한국의 약 12만5천여 명 공무원의 업무가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한 소방관이 데이터 저장용 하드디스크에 물을 뿌리고 있다. ⓒ중앙일보
지난 9월 26일 대전시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본관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부처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온라인 저장 시스템 ‘G-드라이브(G-Drive)’가 완전히 소실됐다. 정부 행정의 핵심 인프라로 여겨지던 해당 시스템은 별도의 백업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12만5천여 명 공무원의 업무 자료가 한순간에 사라지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졌다.
2017년에 구축된 G-드라이브는 공무원들이 문서, 이미지, 공문서 등을 통합적으로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부 전용 클라우드 시스템이다.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와 유사한 구조로, 각 공무원에게 30GB의 저장 용량이 제공됐다.
‘G-드라이브’라는 이름은 ‘Government(정부)’에서 따온 것으로, 정부 행정 전용 시스템임을 상징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으로 74개 중앙부처와 산하기관의 약 12만5천 명이 해당 시스템을 사용했으며, 누적 저장 용량은 총 858TB에 달했다. 모든 서버는 대전 NIRS 본관 5층 전산실에 설치되어 있었고, 화재가 이곳에서 발생하면서 전 장비가 불길에 휩싸였다.
피해가 더욱 심각해진 이유는 G-드라이브가 백업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는 점이다. 같은 건물 내의 95개 다른 시스템과 달리, G-드라이브는 지나치게 큰 용량 탓에 정기적인 백업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G-드라이브만큼은 어떤 형태로도 복구가 어렵다”고 밝혔다.
인사혁신처는 전 직원이 G-드라이브를 통해 업무를 진행해 온 부처로, 이번 화재 이후 긴급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내부 보고, 국회 제출 자료, 인사기록 등 행정 업무가 모두 중단된 상태다. 해당 기관은 사무실 내 PC와 이메일, 종이문서 등을 통해 잔존 데이터를 수집하며, 전문 복구 업체의 지원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여러 중앙정부 부처도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일부 관계자는 “이번 화재로 인해 10월 국정감사 일정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며 “중요한 행정 자료가 완전히 소실된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행정안전부는 화재로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을 대구 분원으로 이전·복구 중이며, 복구에는 약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따르면 본관 내 647개 시스템 중 약 62%는 매일 백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나머지 38%는 월 1회만 백업되었다. 일부 시스템의 경우 8월 말 이후 백업이 진행되지 않아 9월의 데이터는 완전히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도 ‘정부24(Government24)’나 ‘복지로(Bokjiro)’ 등 국민 서비스용 플랫폼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