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손도 없는 청년의 한국 유학 도전기
07/07/2025 09:43
인천국제공항에 첫발을 내디딘 순간, 응옥느읏(27세, 베트남 깐터 출신)은 꿈을 꾸는 듯했습니다. 12년 전 지붕에서 추락한 사고 이후, 그는 인생이 끝났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최근 서울 외곽의 작은 원룸에서 느읏은 한국어와 대학원 입학을 위한 자기소개서를 쓰는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두 팔꿈치만 남은 그는 그 팔꿈치 사이에 펜을 끼워 글씨를 씁니다. 오는 학기에 한밭대학교 대학원 진학을 준비 중입니다.
“한국 오기 전에 TOPIK 4급 시험에 네 번이나 떨어졌어요. 장애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워야 평범하게 살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자기소개서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깐터시 꺼도 군의 가난한 다자녀 가정에서 자란 느읏은 15살 때 학업을 포기하고 철문 용접일을 시작했습니다. 2014년 어느 날, 건설현장에서 철근을 만지다 고압 전선에 닿으면서 감전됐고, 2층 높이의 지붕에서 떨어져 의식을 잃었습니다.
호찌민시 쩌러이 병원에서 깨어난 그는 왼팔을 절단해야 한다는 의사의 말을 들었습니다. 두 달 뒤 오른팔도 괴사해 결국 양팔 모두를 잃었습니다.
“그때 제 인생이 끝났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병원 침대 위에서 본 아버지의 눈물과 어머니의 반백 머리가 그를 붙잡았습니다.
16살, 그는 다시 부모의 품에 안긴 어린아이가 되어 숟가락을 쥐고, 옷을 입고, 양치질하는 법을 새로 배웠습니다. 상처가 아문 뒤, 일자리를 찾아 나섰지만 어느 곳에서도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길을 찾아야 했어요. 공부만이 희망이었죠.”
그는 성인 대상 교육기관에 등록해 다시 학업을 시작했습니다. 첫 등교 날, 두 팔 없는 몸을 숨기려 고개를 숙이고 교실로 들어갔습니다. 머리가 텅 빈 듯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웠지만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의 한마디가 그를 버티게 했습니다.
“우리 집에서 처음으로 고등학교 졸업하는 사람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는 3년간 악착같이 공부했고, 2020년 깐터시 주최의 계산기 수학 경진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습니다. 같은 해 호찌민기술대학교(호치민 HUTECH) 마케팅학과에 합격했습니다.
그를 처음 만난 김프엉(25세)은 고등학교 졸업시험 모의고사장에서 느읏을 보고 놀랐습니다. 정규학교가 아닌 교육기관 학생임에도 시험 성적이 자신보다 높았기 때문입니다. 더 알아본 뒤 그는 두 팔을 모두 잃었음에도 팔꿈치로 글을 쓰고 책장을 넘기며 공부해 온 사실에 깊은 존경을 느꼈습니다.
대학 합격 후 그는 몇 백만 동(한국 돈 수십만 원)만을 들고 호찌민에 올라왔습니다. 부모님이 어렵게 모아준 돈이었습니다. 스스로 생활비, 방세, 학비를 감당하며 외국어를 배우고 생계를 꾸렸습니다. 학교에서는 장학금을 주고 교수·친구들도 돕긴 했지만 혼자 사는 도시는 쉽지 않았습니다.
외로움과 고단함 속에 그는 여러 번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빈탄 지역 길거리에서 식사를 하던 그에게 복권을 팔던 할머니가 다가와 “행운을 빌어요”라며 복권 한 장을 건넸습니다.
그 작은 친절에 그는 크게 깨달았습니다.
“도시는 차갑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서로를 응원해요.”
그렇게 그는 버텨냈습니다.
2023년 초, 대학 3학년이던 그는 한국 중앙대학교 교환학생 장학금을 받았지만 비자 발급에 필요한 재정증명을 충족하지 못해 결국 무산됐습니다.
실망을 딛고 그는 다시 한국을 꿈꿨습니다. 과거 한 자선단체의 지원으로 한국에서 의수를 맞추려 했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결과는 실패했지만 한국에 대한 인상이 깊게 남았습니다.
그는 한국어 능력시험(TOPIK) 4급에 도전했습니다. 첫 시험, 팔꿈치로 시험지를 넘기느라 시간이 부족해 탈락했습니다. 두 번째, 작문이 큰 벽이었습니다. 점점 자신감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세 번째, 부모님과 이미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두 언니를 떠올리며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네 번째는 밤새워 공부했고, 다섯 번째 도전 끝에 결국 TOPIK 4급을 취득했습니다.
“학교에서 입학 허가를 받았을 때 부모님께 전화하면서 눈물이 쏟아질 뻔했어요.”
5년간 느읏을 지켜봐 온 친구 김프엉은 말합니다.
“그는 더 이상 장애인이 아닌, 꿈과 의지를 가진 사람으로 한국에 왔어요. 그의 모든 노력이 인정받게 되어 정말 뿌듯해요.”
Các bài viết liên quan

한국: 대학 졸업자 실업자 수, 중학교 졸업자 실업자 수를 처음으로 추월

미국산 수입 사과로 위협받는 한국의 ‘사과 수도’

고수 싫어하는 한국인, 티셔츠로 ‘선전포고’?

집에서 하루 종일 잠자기: 한국 청년들이 사회적 압박을 피하는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