찹쌀값 급등, 한국 추석 송편 가격도 덩달아 올라  

생활 이야기

02/10/2025 09:23

추석을 앞두고 한국 내 찹쌀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대표적인 명절 음식인 송편을 비롯한 전통 떡류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Giá gạo nếp tăng, bánh trung thu Hàn Quốc đội giá - Ảnh 1.

서울 마포구에서 떡집을 운영하는 한 업주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80kg들이 찹쌀 한 포대 가격이 현재 40만 원(약 285달러)으로 지난해보다 거의 두 배가 됐다”며 “일반 쌀 가격도 포대당 약 10만 원(약 71달러)이나 올랐다”고 밝혔다.  

그는 “쌀값이 너무 빨리 올라 영수증을 보는 게 두렵다”며 “원가 부담이 커졌지만 손님 이탈이 우려돼 대부분의 떡집은 가격을 쉽게 올리지 못하고 이익 감소를 감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찹쌀 소매가격은 kg당 평균 6,412원(약 4.58달러)으로 지난해보다 61.1% 급등했다. 일반 쌀은 20kg에 66,061원(약 4.18달러)으로 29.6% 올랐다.  

쌀값 급등의 배경에는 정부가 지난해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26만 톤의 쌀을 시장에서 격리하면서 올해 재고량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일부 상점은 송편 가격을 약 20% 인상하거나 전통 음료 식혜 가격을 500원(약 0.36달러) 정도 올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점포는 고객 이탈을 우려해 여전히 가격을 동결한 채 시장 안정화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추석 소비심리 역시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크게 위축된 모습이다. 과거에는 한 가정에서 10~20kg씩 떡을 구입했으나, 현재는 가족 모임 축소와 의례 간소화로 1~2kg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 전통 떡집 주인은 “예전에는 추석이 대목이었지만 이제는 그저 추억 속 풍경일 뿐”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 한국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

명절이나 연휴 기간에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인식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10-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편의점 CU서 7,500만 원짜리 위스키 판매… 역대 최고가 기록

편의점 CU서 7,500만 원짜리 위스키 판매… 역대 최고가 기록 편의점 CU에서 7,500만 원 상당의 희귀 위스키 ‘글렌 그랜트 65년산’이 판매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는 CU 역사상 가장 높은 금액에 거래된 상품으로 기록됐다. CU에 따르면 이번에 판매된 위스키는 전 세계 151병 한정으로 출시된 초희귀 제품이다. 구매자는 30대 남성으로 위스키 애호가로 알려졌으며, CU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포켓CU’를 통해 결제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몇 년 사이, CU를 비롯한 GS25, 세븐일레븐 등 국내 주요 편의점들은 명절 시즌마다 초고가 선물세트를 선보이며 화제성을 높이고 있다. 5억 원대 위스키, 1,300만 원짜리 캐비어 세트 등 일부 제품은 판매량은 적지만 홍보 효과는 압도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05-10-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정부, 추석 맞아 ‘온누리상품권 캐시백·소비복권’ 실시…최대 2천만 원 당첨 기회

정부, 추석 맞아 ‘온누리상품권 캐시백·소비복권’ 실시…최대 2천만 원 당첨 기회 한국 정부가 추석 명절 소비 진작을 위해 대규모 소비 활성화 정책을 내놓았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온누리상품권 캐시백 지원과 ‘소비복권’ 이벤트로, 최대 2천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받을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전국 249개 전통시장에서 농수산물·축산물 등 국내산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10월 5일까지 구매 금액의 최대 30%(최대 2만 원)**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 상점에서 5만 원 이상 결제한 소비자는 ‘소비복권’ 이벤트에 자동 응모되며, 최대 2천만 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받을 수 있는 2천여 개의 경품이 준비돼 있다. 당첨자는 10월 말 발표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단기 이벤트를 통해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의 매출 회복을 지원하고, 고물가 속에서도 국민이 명절의 활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05-10-2025 교류 및 생활
photo

학업 압박, 항우울제 복용하는 한국 초등학생 급증

 한국 아동들의 정신 건강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3년 사이 초등학생들의 항우울제 처방 건수가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학업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02-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주 36시간 근로제 추진, 한국 정부 난관 직면  

한국 정부가 주 4.5일 근무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당시 공약한 주요 정책 중 하나다.  
02-10-2025 생활 이야기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