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만에 무너진 디지털 교과서의 꿈

교육 소식

17/10/2025 10:16

‘스마트 교육’의 야심이 시행 4개월 만에 ‘신뢰 위기’로 추락했다.

Giấc mơ số hóa sách giáo khoa tan vỡ sau 4 tháng: Bài học đắt giá của Hàn Quốc khi vội vàng ứng dụng AI vào chương trình giảng dạy- Ảnh 1.

인공지능(AI)을 접목한 디지털 교과서 사업이 한국 교육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사교육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목표로 추진됐으나, 단 한 학기 만에 사실상 실패로 평가받으며 ‘보조 자료’ 수준으로 격하됐다.

이번 사태는 한국 교육계에 큰 충격을 안겼을 뿐 아니라, AI를 활용한 교육 혁신을 추진 중인 다른 국가들에게도 경고음을 울렸다.


■ 성급한 추진

정부가 2024년부터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계획을 발표했을 당시, 많은 사람들은 이를 ‘교육 혁신의 전환점’으로 기대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해당 사업을 “교실 혁명”이라 칭하며, 학습 맞춤화·교사 업무 경감·도시와 농촌 간 교육 격차 해소를 목표로 내세웠다.

Giấc mơ số hóa sách giáo khoa tan vỡ sau 4 tháng: Bài học đắt giá của Hàn Quốc khi vội vàng ứng dụng AI vào chương trình giảng dạy- Ảnh 2.

국비 1조2천억 원과 민간 투자 8천억 원 등 총 2조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수십 개의 출판사와 시범학교, 교원 연수기관이 참여했다.

AI 교과서는 수학·영어·정보 등 3개 과목을 중심으로 종이 교과서를 점진적으로 대체하도록 설계됐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문제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불과 한 학기 만에 학생·교사·학부모의 반발이 잇따르며 ‘스마트 교육의 꿈’은 무너졌다.

전문가들은 “사업 추진이 지나치게 성급했다”고 지적한다.
AI 교과서 개발 기간은 약 12개월에 불과했는데, 이는 전통 교과서의 내용 개발 단계(평균 18개월)보다 짧았다. 준비 부족은 기술적 문제와 콘텐츠 오류로 이어졌다.


■ 기술 문제와 현장 혼란

첫 번째 문제는 기술적 결함이었다.
시스템 오류로 수업이 지연되는 사례가 빈번했고, 일부 학교는 장비나 인터넷 환경이 부족했다.
학생들은 “수업이 재미없고 맞춤형 학습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일부 콘텐츠에서는 사실관계 오류도 발견됐다.

교사들은 오히려 업무 부담이 가중됐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기술 문제까지 처리해야 했기 때문이다.
결국 교사들은 ‘비공식 IT 지원 인력’ 역할을 떠맡게 됐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화면 노출 시간이 늘어나는 점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 “AI 도입, 너무 빨랐다”

찬성 입장이던 전문가들조차 “도입이 지나치게 급했다”고 평가했다.
교과서 집필 기간은 통상 2~3년이 걸리지만, 이번에는 불과 몇 개월 만에 완성됐다.
소규모 시범 운영도 없었고, 독립적인 효과 검증 절차도 부재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보흠 교수는 “AI는 과제나 연습 등 보조 영역에서 충분히 검증된 후에 교실 수업에 적용해야 한다”며 “한국은 그 과정을 건너뛰었다”고 지적했다.


■ 교사·학부모 단체 반발, 정부 ‘후퇴’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학부모 단체 ‘폴리티컬 마마스’는 정부가 데이터 보호 대책 없이 AI 교과서 사용을 강제했다며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권한 남용 소송을 제기했다.

Giấc mơ số hóa sách giáo khoa tan vỡ sau 4 tháng: Bài học đắt giá của Hàn Quốc khi vội vàng ứng dụng AI vào chương trình giảng dạy- Ảnh 3.
이들은 “화면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 아이들의 독해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정부는 전국 의무 시행 방침을 철회하고, 1년간 자율 시범 운영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정치적 변화가 사업의 종말을 앞당겼다.
윤 전 대통령이 4월 국회에서 탄핵된 이후, 이재명 대통령은 8월 해당 사업의 ‘공식 교과서’ 지위를 철회하며 보조 자료로 전환했다.

초기에 4,000여 개 학교가 사용했으나, 한 학기 후 2,000개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적용률은 37%에서 19%로 하락했다.
AI 교과서 개발사들은 투자 손실을 이유로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준비 중이다.

“이제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 그것이 가장 큰 문제다.” 한 교사는 해외 매체 ‘레스트 오브 월드(Rest of World)’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토로했다.


■ 기술보다 중요한 ‘시간과 합의’

한국의 사례는 세계 각국이 AI 교육 도입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복합적 문제를 보여준다.
AI 교과서는 단순한 기술 도구가 아니라, 교사의 역할·학생의 개인정보 보호·학습 효과 등 교육 철학 전반의 변화를 요구한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갖춘 나라다. 하지만 AI 교과서 사업은 기술 인프라가 교육적·법적·사회적 준비를 대신할 수 없음을 증명했다.
정치적 속도전에 밀려 과학적 검증이 생략될 때, 실패는 필연적이다.

전문가들은 “AI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만능 해법은 아니다”고 입을 모은다.
교육 현장에서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점진적 도입, 충분한 연구, 그리고 교사·학부모의 공감대가 필수적이다.

교육의 디지털화는 단순히 종이책을 태블릿으로 바꾸는 일이 아니다.
학생이 배우고, 교사가 가르치며, 서로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바꾸는 일이다.
AI가 진정으로 학습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합의’, 그리고 ‘신중함’이 필요하다.

한 학기 만에 남은 것은 1조2천억 원의 예산 손실과, ‘교육의 신중함은 어떤 기술로도 대체할 수 없다’는 뼈아픈 교훈이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사범대 학생들, 교직 포기 잇따라

근무환경 악화·낮은 임금·취업난으로 이탈 가속화
14-10-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 학생들, ‘미국 유학 신화’에 환멸… 아시아로 눈 돌리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의 불안정한 교육 및 이민 정책으로 인해, 오랫동안 미국을 ‘교육의 약속의 땅’으로 여겨왔던 한국 가정들이 서서히 서구 유학 계획을 재검토하고 있다.
13-10-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 2026년 한국어능력시험(TOPIK) 시행 계획 발표

내년부터 온라인 시험 실시 국가 13개국 → 17개국으로 확대
10-10-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외국어대학교, 국내 대학 글로벌 역량 평가 1위 차지

2025년 9월 24일, 더 코리아타임스(The Korea Times)는 처음으로 한국 대학들의 글로벌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K-universities Global Excellence 2026’ 순위를 발표했다.
25-09-2025 교육 - 유학
photo

한국 문화 체험과 교류의 기회

지난 9월 20일 오후, 달랏대학교에서 달랏 킹세종학당이 제10회 세종한국어능력평가시험(SKA)을 개최했다. 이번 시험에는 달랏대학교, 예르신대학교 동방학과 학생들과 달랏 킹세종학당 수강생 등 총 139명이 응시했다.
22-09-2025 교육 - 유학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