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자 정책 변화로 영향을 받은 유학생들, 한국이 대안 유학지로 부상

교육 소식

03/06/2025 10:16

최근 미국 정부의 비자 정책 강화로 유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특히 하버드대학교 재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이 새로운 유학지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 사진: usac.edu

**코리아타임스(Korea Times)**에 따르면, 고려대학교는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비자 정책 변화로 학업 및 연구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는 국제 학생 및 연구자들을 위한 특별 수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일본과 홍콩(중국)을 포함한 일부 아시아 대학들의 유사한 움직임에 뒤이어, 한국 대학이 처음으로 발표한 지원 조치이다. 이들 지역에서는 대학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도 하버드를 비롯한 미국 대학에서 학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국제 학생 유치를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고려대학교는 이번 발표를 통해 국제교류방문프로그램(SEVP, 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과 관련된 논란 속에 영향을 받은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진 및 박사후 연구자(Post-doc)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로 불확실성과 혼란에 직면한 이들에게 학문적 연속성과 연구 기회를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고려대학교는 연구자들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숙소와 기본 생활 여건을 지원하고, 연구 활동을 중단 없이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또한 학부 및 대학원 학생들에게는 학점 인증서를 발급하고, 학업 연계 및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유연한 학업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황이 개선될 경우 원 소속 학교로 복귀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할 예정이다.

학교 관계자는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확정되었으나, 구체적인 시행 일정 및 세부 사항은 현재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은 “현재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학업과 연구를 계속하고자 하는 우수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며, 고려대학교는 안정적인 학문 공동체로서 이들의 성장을 돕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 내 다른 주요 대학들의 반응도 주목되고 있다. 서울대학교는 아직 유사한 지원 계획이 없다고 밝혔고, 하버드대학교와 공식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한국 내 유일한 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도 현재로서는 별도의 대응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연세대학교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아직 없지만, 기존 국제 인재 유치 시스템을 재검토 중이며, 미국 비자 정책 변화로 영향을 받은 유학생 지원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의지를 내비쳤다.

이번 고려대학교의 발표는 미국의 국제교육 및 이민 정책이 갈수록 강화되는 가운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고등교육기관들이 새로운 학문적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전략적 전환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아직 많은 부분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고려대학교의 선제적 조치는 향후 한국 및 아시아권 대학들이 유사한 대응을 준비할 수 있는 선례가 될 수 있으며, 수천 명의 유학생과 연구자들에게 학업과 연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베트남 통신사 TTXVN 제공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서울대, 6개 산 등반 학생에게 장학금 지급

서울대학교가 성적이나 수상 경력과 상관없이 6개의 산을 등반한 학생에게 70만 원(약 133만 동)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31-07-2025 교육 - 유학
photo

제1회 재한 베트남 대학생 한국 유학 생활 수기 공모전

대회명: 제 1회 재한 베트남 대학생 한국 유학생활 수기 공모전 주최: 사단법인 한베문화교류센터 후원: (후원기관유치예정) 참가대상: 한국 내 거주 베트남 대학생 *학사과정 재학생에 한함(어학당, 석박사과정 학생 제외) [공모주제] • 나의 한국 유학생활 이야기 • 한국에서 만난 감동 • 한국에서 겪은 어려움 • 한국 문화와 자국 문화의 차이로 인한 에피소드 • 한국 유학 중 꿈꾸는 미래 • 내가 사랑하는 한국의 모습 • 한국인에게 바라는 점 • 기타(유학 생활하며 경험한 다양한 주제) [출처] 제1회 재한 베트남 대학생 한국 유학 생활 수기 공모전 (알럽코(외국인 유학생 정보 공유 커뮤니티)) | 작성자 알럽코
27-07-2025 교육 - 유학
photo

유학생을 위한 최고의 10개 도시

2026년 유학생을 위한 최고의 도시로 아시아의 두 도시, 서울과 도쿄가 선정되었습니다.
24-07-2025 교육 - 유학
photo

지리산생태탐방원, 자율형 공립고 프로그램 운영

국립공원공단 지리산생태탐방원은 전남 구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율형 공립고 2.0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자율형 공립고 2.0은 지방자치단체, 대학, 기업 등 다양한 지역 주체 협력해 특성화 프로그램이나 진로 체험 등을 운영하는 교육 모델이다. 지리산생태탐방원은 지난 15일 1주제인 '세계보호지역 및 국립공원 특강'과 2주제인 '국립공원 환경 체험'을 진행했으며 향후 3·4주제인 '국립공원 진로 체험'과 '탄소중립 실천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16-07-2025 교육 - 유학
photo

전남 섬마을 작은학교, 국제교류 현장으로 탈바꿈

전남 섬마을 작은학교, 국제교류 현장으로 탈바꿈 올여름 전남의 작은 섬마을 학교들이 전국의 작은학교 학생들과 캐나다의 교사 및 고등학생들이 만나는 특별한 국제 교육의 장으로 변모했다. 전남도교육청 국제교육원이 처음 시작한 국제교류 프로젝트 ‘2025 스터디 트래블(Study Travel)’은 도서·벽지 지역 초·중학생들에게 세계와 연결되는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전남 섬지역 25개 작은학교가 참여하였으며, 미국과 캐나다의 교육기관인 스탠퍼드대학교 산하 Seeds of Empowerment(SOE), 트리니티 웨스턴 대학교(TWU), 버논 교육청, 브리티시 컬럼비아 크리스천 아카데미(BCCA)가 함께했다. 캐나다 밴쿠버 출신의 교사, 예비교사, 고등학생 30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은 지난 7일부터 10일간 거문도초등학교, 가거도초등학교 등 전남의 25개 섬마을 작은학교를 방문하여 하루 4시간 수업과 문화 체험 활동을 병행하는 ‘함께 살아보는 교육’을 선보였다. 이들은 지난해 여수에서 열린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방문 이후 다시 전남을 찾아 작은학교들이 희망하는 국제교류의 씨앗을 뿌렸다. 국제교육원 최정용 원장은 15일 “단순한 영어 캠프를 넘어서 사람과 사람 사이 진심이 연결되는 국제교육의 새로운 실험”이라며 “지역의 작은 교실이 세계와 직접 연결되는 순간을 만들어 ‘사람과의 연결을 통한 교육’을 실현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캠프 기간 동안 외국인에 낯설어하던 학생들이 점차 미소를 짓고 영어로 인사하며 대화를 시도하는 모습에, 현직 교사와 지역 학부모들도 “아이들의 눈빛이 달라졌다”며 환영했다. 11일 열린 성과 공유회에서 외국인 교사들은 “서울이나 부산이 아닌 전남에서 진짜 한국을 느꼈다”며 “섬마을 풍경, 따뜻한 사람들, 학교 급식의 한 끼 식사 모두가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전했다. 또한, 여수 금오도에서 14일부터 사흘간 진행되는 스탠퍼드대 폴 킴 교수의 ‘SMILE’ 플랫폼 체류형 집중 캠프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자기주도 학습과 인공지능(AI) 활용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한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언어 교육을 넘어 글로벌 리더십과 창의력 함양을 목표로 한다. 최 원장은 “여름방학 특별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국제교육 모델”이라며 “전남 작은 마을에서 시작된 이 작은 국제교육 프로젝트가 세계 시민을 키우는 든든한 뿌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15-07-2025 교육 - 유학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