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로봇 혁신'으로 고령화 문제 해결에 나선다
02/07/2025 09:35
세계 최저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 속도를 겪고 있는 한국이 민관 협력을 통한 로봇 기술에 적극 투자하며 미래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기준 산업용 로봇 밀집도가 세계 1위로, 노동자 1만 명당 약 1,000대의 로봇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을 크게 앞서는 수치입니다.
2021년 현대자동차 그룹이 11억 달러(약 1조 4,000억 원)를 투자해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지분 80%를 인수한 것은 단순한 대형 거래를 넘어, 한국이 글로벌 로봇 산업의 선두주자로 도약하는 전략적 발판이 됐습니다. 이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로봇 분야에 본격적으로 투자에 나서며 로봇 혁신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의 로봇 경쟁
현대차그룹은 현재 두 가지 핵심 로봇 제품을 개발 중입니다. 산업 현장 감시용 '로봇 개' 스팟(Spot)과, 2028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상용화할 계획인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입니다.
또한, 포브스(Forbes)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는 2024년 말부터 산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근력 보조 웨어러블 로봇 '엑스블(X-ble)'을 실제로 투입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는 300명의 자동차 부품 조립 작업자 대상 시험을 통해, 무거운 부품을 들어올릴 때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30% 이상 줄이는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산업 분야를 넘어 의료 분야로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수동형 스프링 토크 메커니즘을 적용한 '엑스블 멕스(X-ble MEX)'를 통해 재활 치료 및 근력 회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편, 두산로보틱스(Doosan Robotics)는 협동로봇 '코봇(Cobot)'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하며 용접, 연마, 포장, 식품 조리, 수하물 운반 등 다양한 산업에 로봇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LG전자도 호텔과 병원 등에서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클로이(CLOi)'를 운영 중이며, 어린이 대상 가정용 로봇 'Q9'을 통해 시각·청각·음성 인식 및 동화 구연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삼성전자 역시 2024년 12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설립한 레인보우로보틱스(Rainbow Robotics)의 최대 주주로 등극했습니다. 삼성은 2,670억 원(약 1억 8,600만 달러) 규모의 추가 지분을 매입하며 로봇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가 차원의 로봇 전략
한국의 로봇 개발은 개별 기업 차원을 넘어 국가 전략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및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2024년 4월 'K-휴머노이드 얼라이언스(K-Humanoid Alliance)'를 출범시키며 본격 대응에 나섰습니다.
이 얼라이언스에는 40여 개의 공공·민간 기관이 참여해, 미래 세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할 AI 기반 플랫폼 개발과 함께 2030년까지 완전한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출범식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휴머노이드 로봇은 향후 10년간 25배 성장 잠재력이 있는 국가 핵심 전략 산업"이라고 강조하며, 한국 제조업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로 로봇을 지목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세계 최저 수준인 0%대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로 노동력 부족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로봇은 한국 사회의 필수 대응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1조 7,000억 달러(약 2,300조 원) 규모의 한국 경제는 이미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0.8%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재명 신임 대통령 정부는 3,000억 달러(약 22조 원) 규모의 기술혁신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정책은 로봇을 포함한 미래 기술 개발, 기업 지원, 경제 안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2026년 한국 근로자 휴일 총 118일…설 연휴는 최장 5일

10년 만의 공식 투샷? 원빈·이나영 부부, 박인비와 경주 여행 모습 화제

한국 정부,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 방안 발표

한국 정치 뜨거워: 국회의원 45명 제명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