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채화 같은 미모, 민낯 레전드 사진으로 다시 한번 ‘국민 첫사랑’의 위엄을 보여준 수지

예술 활동

18/06/2025 09:00

‘국민 첫사랑’이라는 수식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이 누구냐고 묻는다면, 많은 사람들이 수지를 떠올릴 것입니다.

최근 수지의 전설적인 민낯 사진들이 다시 한 번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SNS 플랫폼 X(구 트위터)에서는 수지의 민낯 사진이 다양한 계정을 통해 공유되며 수백만 건의 조회수와 수많은 댓글, 좋아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은 “이래서 수지가 수지지”라며 감탄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Visual
수지는 단아하고 청초한 외모로 ‘국민 첫사랑’이라는 별명을 얻은 배우입니다.

Visual
화장기 없는 얼굴에서도 빛나는 미모는 물론, 자연스러움 속에서도 우아함을 잃지 않아 많은 이들의 감탄을 자아냈습니다.

Visual
민낯임에도 불구하고 화면을 뚫고 나오는 청량한 비주얼로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외모뿐만 아니라 연기력도 끊임없이 발전시키는 수지는 매 작품마다 새로운 캐릭터에 도전하며 배우로서의 입지를 단단히 다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드라마와 영화 모두에서 활약을 예고하고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Visual
먼저 드라마 분야에서는 로맨틱 코미디 <지니, 소원을 말해봐(Genie, Make A Wish)>로 안방극장을 찾을 예정입니다. 이 작품은 감정 기복이 심한 요정 지니와 감정이 부족한 여자 가영의 러브스토리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입니다. 우연히 램프를 문질러 지니를 깨운 가영은 세 가지 소원을 받을 기회를 얻게 되면서, 둘 사이의 특별한 관계가 시작됩니다.

Visual
드라마 <지니, 소원을 말해봐>에서 수지는 사랑스러우면서도 신비로운 매력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이번 드라마는 특히 수지가 배우 김우빈과 9년 만에 다시 호흡을 맞춘다는 점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2016년 드라마 <함부로 애틋하게> 이후 처음으로 재회하게 되었으며, <지니, 소원을 말해봐>는 오는 10월 3일 방영 예정입니다.

Visual
영화 <상처받은 마음을 위한 7시 조찬 모임(Seven O'clock Breakfast Meeting for the Broken Heart)>에서는 감성적이고 묵직한 분위기로 새로운 모습을 선보입니다.

한편, 영화에서는 이진욱, 유지태, 금새록 등과 함께 <상처받은 마음을 위한 7시 조찬 모임>에 출연합니다. 이 작품은 “상처받은 마음을 위한 7시 조찬 모임”이라는 간판을 내건 레스토랑에서 시작됩니다. 이곳에서 모인 사람들은 각자의 사연을 공유하고, 기념품을 교환하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관계를 맺어갑니다. 수지가 맡은 캐릭터는 슬픔을 간직한 듯한 분위기로 관객들의 궁금증을 자극합니다.

Visual
수지는 이번 영화에서 기존과는 다른 감정선을 보여주며 성숙한 연기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tvN 주말극 〈폭군의 셰프〉, 시청률 두 자릿수 돌파하며 흥행 질주

tvN 주말극 〈폭군의 셰프〉, 시청률 두 자릿수 돌파하며 흥행 질주 tvN 주말드라마 〈폭군의 셰프〉(주연 임윤아·이채민)이 안방극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9월 6일과 7일 방송된 5회와 6회는 전국 기준 각각 10.8%, **12.7%**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동시간대 경쟁작을 크게 앞질렀다. 이 작품은 코믹·로맨스·사극적 긴장감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 선물세트’ 같은 매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셰프 **연지영(임윤아)**이 뜻밖에 연산군 시대로 떨어지면서, 까다로운 입맛을 지닌 왕 **이헌(이채민)**과 맞닥뜨린다. 팽팽한 대립 끝에 두 사람은 점차 사랑의 감정을 키워가고, 궁중에서는 권력 다툼과 음모, 화해가 얽히며 극적 긴장감을 높인다. 〈폭군의 셰프〉는 전형적인 판타지 로맨스 사극의 공식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궁중 요리를 매개로 갈등을 풀어내는 전개로 **‘2025년판 대장금’**이라는 별칭을 얻고 있다. 〈별에서 온 그대〉, 〈홍천기〉, 〈꽃선비 열애사〉 등을 연출한 장태유 감독은 이번에도 특유의 섬세한 미장센을 살렸다. 꽃잎이 흩날리는 장면으로 로맨틱한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한편, 궁중 음식을 활용해 극의 긴박함을 완화하는 연출이 눈길을 끈다. 총 12부작으로 기획된 드라마는 어느덧 반환점을 돌았다. 시청자들은 이미 ‘역사가 스포일러’임을 알지만, 극 중 이헌은 단순한 폭군이 아닌, 나름의 이유와 명분을 가진 인물로 새롭게 해석되며 신선한 울림을 전하고 있다.
photo

전소민, 런닝맨에 ‘컴백 힌트’ 남기다

전소민, 런닝맨에 ‘컴백 힌트’ 남기다 배우 전소민이 9월 7일 방송된 **〈런닝맨〉**에서 이름이 언급되며 다시 한번 시청자들의 그리움을 불러일으켰다. 이날 제작진은 ‘3분 음악 요리’ 게임을 공개하며, 해당 아이디어가 전소민이 직접 보낸 것이라고 밝혔다. 멤버들은 놀람과 반가움을 감추지 못했다. 김종국이 *“소민이랑 아직 연락해요?”*라고 묻자, 제작진은 *“자주 문자도 하고 가끔 게임 아이디어도 보낸다”*고 답했다. 이에 지석진과 유재석은 *“그렇다면 직접 나와서 해야지”*라며 분위기를 더욱 흥겹게 만들었다. 전소민이 고안한 게임은 한 사람이 요리 레시피를 멜로디에 맞춰 부르고, 다른 멤버들이 그 노래에 따라 음식을 만드는 방식으로, SNS에서 유행 중인 놀이를 변형한 것이다. 그녀 특유의 센스와 텐션이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 전소민은 약 7년간 함께한 끝에 2023년 11월 **〈런닝맨〉**에서 하차하고 연기 활동에 집중해왔다. 출연 당시 엉뚱하고 유쾌한 매력으로 많은 애칭을 얻으며 사랑받았고, 악성 댓글이나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멤버들과의 끈끈한 우정을 이어왔다. 그녀가 여전히 프로그램에 아이디어를 전하며 교류하고 있다는 사실에 시청자들은 “컴백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소민이 없는 런닝맨은 허전하다”, “여전히 프로그램을 지켜보는 게 느껴진다, 꼭 돌아와 달라”, *“이건 그냥 컴백 힌트지”*라는 반응이 이어졌다.
photo

분실한 휴대전화·지갑 되찾은 한국인 관광객…베트남 경찰 신속 대응

2025년 9월 7일, 베트남 꽝남성 – 베트남 꽝남성 귀년동(Quy Nhon Dong) 지역 경찰이 현지에서 여행 중이던 한국인 관광객이 분실한 휴대전화와 지갑을 신속히 찾아 돌려주었다.
08-09-2025 예술 활동
photo

호이안에서 가게 주인이 건넨 따뜻한 한 끼에 감동한 한국인 관광객  

호이안의 한 보석 가게 주인에게 점심을 대접받은 한국인 관광객 소피아 최(21)는 “마치 집에서 먹는 것처럼 따뜻했다”며 잊지 못할 추억을 남겼다고 전했다.  
08-09-2025 예술 활동
photo

새 조사: “극단적 이념 대립”이 한국 국가 이미지에 가장 부정적 영향

새 조사: “극단적 이념 대립”이 한국 국가 이미지에 가장 부정적 영향 최근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의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이미지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극단적 이념 대립”**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참여자 중 80% 이상이 이 문제를 1순위로 꼽았다. 이번 조사는 406명(한국인 203명, 외국인 2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이념 갈등 외에도 한국인들은 “사회 갈등이 자주 발생한다”(41.87%) “과도한 경쟁과 긴장 문화”(29.06%) 를 부정적 요인으로 지적했다. 외국인들도 유사하게, 각각 **30.05%**와 **27.09%**가 이 두 가지 문제를 선택했다. 반대로 **“한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한국인(94.58%)과 외국인(93.10%) 모두 **“한류”**라고 답했으며, K-pop, 영화, 드라마가 국가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꼽혔다. 또한, 한국인들은 **첨단 IT 인프라(52.71%)**와 **안전한 사회(25.62%)**를 높이 평가한 반면, 외국인들은 **전통적 요소(41.87%)**와 그 다음으로 **기술(32.02%)**을 중요시했다. 최근 한류의 확산은 국가 이미지 향상에 큰 역할을 했으며, 넷플릭스 전 세계 1위를 기록한 “K-pop Demon Hunters”, K-pop 글로벌 투어,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향후 K-culture의 방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전통과 현대, 한국적 요소와 세계적 요소의 결합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온라인 스트리밍(OTT) 영화·드라마가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미래 준비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 교육과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