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에서 교사 직업의 위상이 점점 추락하고 있는가?

생활 이야기

16/06/2025 10:37

학교폭력, 과도한 민원과 교사에 대한 존중 부족, 낮은 급여 수준 등이 한국에서 교사 직업의 매력을 점점 잃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Năm 2024, mức lương cơ bản của giáo viên mới ra trường tại Hàn Quốc từ 2,19 - 2,25 triệu won (1.600 USD) mỗi tháng. Ảnh: INT

2024년 기준, 한국에서 신규 임용 교사의 기본 월급은 약 219만~225만 원(약 1,600달러) 수준이다. 하지만 이러한 급여 수준조차도 교직 지원자를 끌어들이기엔 부족하다.

교대 입학 경쟁률 하락

3년 전 교대에 진학한 23세 최 모 씨는 교직이 안정적이고 의미 있는 직업이라 믿고 교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지금 그는 교사의 권위가 크게 약화되었고, 교직의 미래가 불안하다는 사실에 실망하며 다른 진로를 고민하고 있다. 최 씨는 결국 휴학을 선택하고, 약학과 입학을 목표로 다시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에 나섰다.

“이제 교사는 예전처럼 자유롭게 가르칠 수도 없고, 끊임없이 도전과 감시, 그리고 존중 부족에 시달립니다. 교실은 점점 관리하기 어려운 공간이 되고 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언어적, 법적 대응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입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최근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교대의 정시 합격선은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특별전형의 경우, 주요 과목 평균 7등급 학생도 합격한 사례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1등급이 가장 높은 성적이며 9등급이 가장 낮다. 그동안 일반전형은 주로 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했지만, 이제는 평균 6등급 학생도 합격하는 상황이다.

종로학원 임성호 원장은 “정시에서 평균 6등급 학생이 합격하는 건 극히 드문 일입니다. 이는 교직에 대한 관심이 중위권 학생들 사이에서도 급감했음을 보여줍니다.”라고 분석했다.

춘천교대의 경우, 지난해 정시 합격 평균 등급은 4.73에서 올해 6.15로 크게 떨어졌다. 광주교대도 수능 합격선이 4등급대 중반까지 낮아졌다. 서울교대조차 정시 합격 평균 등급이 1.97에서 2.10으로 하락했다. 교대의 정원 미달 사례도 증가 추세다.

교직 만족도 하락

낮은 급여와 증가하는 업무량은 오랫동안 교직 기피의 이유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교실에서 기본적인 권위를 지키지 못하는 점이 더 큰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잦은 교육정책 변화, 늘어나는 행정업무, 교실 내 폭력 사건 등이 교사를 더 이상 선망받는 직업으로 여기지 않게 만들었다고 지적한다.

최 씨는 “교사는 한때 사람들의 삶을 형성하고 존중받는 영향력 있는 직업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마치 손이 묶인 채 전쟁터에 나가는 기분입니다. 사회는 교육적 성과를 요구하지만, 정작 그 성과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을 무너뜨리고 있습니다.”라고 토로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KFTA)가 8,25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직업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2.7%에 그쳤으며, 불만족한다는 응답도 32.3%에 달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교직이 사회적으로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응답자 중 64.9%는 “교사가 사회에서 존중받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존중받는다”는 응답은 8.9%에 불과했다. 직업 만족도를 5점 만점으로 평가한 점수는 평균 2.9점이었다.han-quoc-vi-sao-nghe-giao-mat-dan-vi-the.jpg

이처럼 만족도가 낮다 보니, 최근 1년 사이에 58%의 교사가 퇴직이나 이직을 고민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77.5%는 과도한 요구와 권리 보호 부족을, 57.6%는 낮은 급여를, 27.2%는 과중한 업무량을 꼽았다.

56.7%는 학생들이 교사에게 무례한 행동이나 권리 침해를 경험했다고 답했고, 56%는 학부모로부터도 그런 경험이 있다고 했다. 학부모의 과도한 민원으로 인해 23.3%는 정신과 치료나 심리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했다.

2023년 서울 초등교사의 비극적 사건 이후 교사 권리 침해 문제는 사회적 우려를 낳았다. 당시 피해자는 일부 학부모의 지속적인 괴롭힘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형사적 처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KFTA가 그해 10월 같은 조사에서 집계한 결과, 만족도는 13.2%로 크게 떨어졌고, 불만족 비율은 68.4%로 급증했다. 87%는 퇴직이나 이직을 고민했다고 답했다.

최근 조사에서도 교권 침해는 여전하다. 5월 초 KFTA 조사에서 67.7%는 학생의 폭언을, 22.9%는 폭행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올해 4월에는 서울의 한 고3 학생이 수업 중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던 교사의 얼굴을 가격해 논란이 됐다. 해당 학생은 전학 조치됐고, 교사와 학생들은 심리치료를 받았다. 5월 22일에는 제주에서 한 중학교 교사가 학부모의 지속적인 민원(하루 10여 통의 전화)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교사 폭행 사건은 502건으로 2020년(106건)보다 약 5배 증가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 한국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

명절이나 연휴 기간에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인식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10-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편의점 CU서 7,500만 원짜리 위스키 판매… 역대 최고가 기록

편의점 CU서 7,500만 원짜리 위스키 판매… 역대 최고가 기록 편의점 CU에서 7,500만 원 상당의 희귀 위스키 ‘글렌 그랜트 65년산’이 판매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는 CU 역사상 가장 높은 금액에 거래된 상품으로 기록됐다. CU에 따르면 이번에 판매된 위스키는 전 세계 151병 한정으로 출시된 초희귀 제품이다. 구매자는 30대 남성으로 위스키 애호가로 알려졌으며, CU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포켓CU’를 통해 결제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몇 년 사이, CU를 비롯한 GS25, 세븐일레븐 등 국내 주요 편의점들은 명절 시즌마다 초고가 선물세트를 선보이며 화제성을 높이고 있다. 5억 원대 위스키, 1,300만 원짜리 캐비어 세트 등 일부 제품은 판매량은 적지만 홍보 효과는 압도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05-10-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정부, 추석 맞아 ‘온누리상품권 캐시백·소비복권’ 실시…최대 2천만 원 당첨 기회

정부, 추석 맞아 ‘온누리상품권 캐시백·소비복권’ 실시…최대 2천만 원 당첨 기회 한국 정부가 추석 명절 소비 진작을 위해 대규모 소비 활성화 정책을 내놓았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온누리상품권 캐시백 지원과 ‘소비복권’ 이벤트로, 최대 2천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받을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전국 249개 전통시장에서 농수산물·축산물 등 국내산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10월 5일까지 구매 금액의 최대 30%(최대 2만 원)**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 상점에서 5만 원 이상 결제한 소비자는 ‘소비복권’ 이벤트에 자동 응모되며, 최대 2천만 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받을 수 있는 2천여 개의 경품이 준비돼 있다. 당첨자는 10월 말 발표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단기 이벤트를 통해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의 매출 회복을 지원하고, 고물가 속에서도 국민이 명절의 활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05-10-2025 교류 및 생활
photo

학업 압박, 항우울제 복용하는 한국 초등학생 급증

 한국 아동들의 정신 건강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3년 사이 초등학생들의 항우울제 처방 건수가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학업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02-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찹쌀값 급등, 한국 추석 송편 가격도 덩달아 올라  

추석을 앞두고 한국 내 찹쌀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대표적인 명절 음식인 송편을 비롯한 전통 떡류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02-10-2025 생활 이야기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