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소수자 커밍아웃, 한국 사회 점점 LGBTQ+ 콘텐츠에 열린 시선

예술 활동

13/05/2025 23:09

예술가들의 용기 있는 커밍아웃

《한국일보》에 따르면, 성적 지향을 솔직히 밝히는 스타들의 용기 있는 행보가 한국 연예계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특히 2025년 4월 중순, 베테랑 배우 윤여정은 아들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공개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국민 할머니'라 불리는 그녀의 진심 어린 고백은 최근 여러 예술가들의 용기 있는 행동들과 맞물리며 사회 전반의 인식을 바꾸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윤여정은 할리우드와의 인터뷰에서 아들이 2000년에 커밍아웃했다고 밝혔다. “뉴욕에서 동성결혼이 합법화되었을 때 아들의 결혼식을 열어주었습니다. 지금은 아들보다 사위를 더 사랑하게 되었어요”라며 회상했다.

이 소식에 대해, 한국 최초로 커밍아웃한 동성애자 연예인 홍석천은 “윤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너무 놀랐고, 감동받았으며 큰 위로를 받았다”며 SNS를 통해 소감을 밝혔다.

K-POP계에서도 진보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보이그룹 Just B의 멤버 베인은 남성 아이돌 중 처음으로 자신이 LGBTQ+ 커뮤니티의 일원임을 공개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연에서 그는 “저는 LGBTQ+ 커뮤니티의 구성원이라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라고 당당히 밝혔다.

그 전에도 걸그룹 와썹(Wassup)의 전 멤버 지애는 양성애자임을, 캣츠아이(Cats Eye)의 라라는 성소수자임을 밝힌 바 있다.

방송인 퐁자(Pungja)는 성전환 연예인으로서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며, 2023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는 《전지적 참견 시점》을 통한 활약으로 신인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수상 소감에서 “저의 다름으로 인해 사회로부터 차별받을까 늘 걱정했던 아버지께, 그의 딸이 이렇게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전하고 싶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한국일보》는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공개한 예술가들의 용기가 단순한 개인의 표현을 넘어,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콘텐츠 속 LGBTQ+ 존재감 확대

예술가들의 용기와 함께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도 점차 LGBTQ+ 커뮤니티를 자연스럽게 포용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 시즌2》, 《옥란전》 등 주요 작품들에서 LGBTQ+ 캐릭터가 등장하며, 이들의 존재가 대중과 한층 가까워지고 있다. 비록 조연일지라도, 이들의 등장은 한국 사회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 역시 변화의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2022년, Wavve는 남성 간의 연애를 다룬 연애 리얼리티 쇼 《히즈맨(His Man)》을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다. 유명 인물이 출연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프로그램은 방송 기간 내내 Good Data Corporation의 화제성 순위 상위를 기록했다.

《히즈맨》은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iQIYI와 Rakuten TV 등의 플랫폼에서 오락 부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공을 기반으로, 제작진은 2025년 여성 간의 사랑을 조명하는 첫 리얼리티 프로그램 《투게더(ToGetHer)》를 기획 및 제작했다. 이 시리즈는 한국 콘텐츠 산업에서 LGBTQ+ 커뮤니티의 대표성을 확대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받고 있다.

《코리아타임스》는 《히즈맨》과 《투게더》와 같은 프로그램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서, 시청자들이 LGBTQ+ 커뮤니티를 더 깊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tvN 주말극 〈폭군의 셰프〉, 시청률 두 자릿수 돌파하며 흥행 질주

tvN 주말극 〈폭군의 셰프〉, 시청률 두 자릿수 돌파하며 흥행 질주 tvN 주말드라마 〈폭군의 셰프〉(주연 임윤아·이채민)이 안방극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9월 6일과 7일 방송된 5회와 6회는 전국 기준 각각 10.8%, **12.7%**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동시간대 경쟁작을 크게 앞질렀다. 이 작품은 코믹·로맨스·사극적 긴장감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 선물세트’ 같은 매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셰프 **연지영(임윤아)**이 뜻밖에 연산군 시대로 떨어지면서, 까다로운 입맛을 지닌 왕 **이헌(이채민)**과 맞닥뜨린다. 팽팽한 대립 끝에 두 사람은 점차 사랑의 감정을 키워가고, 궁중에서는 권력 다툼과 음모, 화해가 얽히며 극적 긴장감을 높인다. 〈폭군의 셰프〉는 전형적인 판타지 로맨스 사극의 공식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궁중 요리를 매개로 갈등을 풀어내는 전개로 **‘2025년판 대장금’**이라는 별칭을 얻고 있다. 〈별에서 온 그대〉, 〈홍천기〉, 〈꽃선비 열애사〉 등을 연출한 장태유 감독은 이번에도 특유의 섬세한 미장센을 살렸다. 꽃잎이 흩날리는 장면으로 로맨틱한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한편, 궁중 음식을 활용해 극의 긴박함을 완화하는 연출이 눈길을 끈다. 총 12부작으로 기획된 드라마는 어느덧 반환점을 돌았다. 시청자들은 이미 ‘역사가 스포일러’임을 알지만, 극 중 이헌은 단순한 폭군이 아닌, 나름의 이유와 명분을 가진 인물로 새롭게 해석되며 신선한 울림을 전하고 있다.
photo

전소민, 런닝맨에 ‘컴백 힌트’ 남기다

전소민, 런닝맨에 ‘컴백 힌트’ 남기다 배우 전소민이 9월 7일 방송된 **〈런닝맨〉**에서 이름이 언급되며 다시 한번 시청자들의 그리움을 불러일으켰다. 이날 제작진은 ‘3분 음악 요리’ 게임을 공개하며, 해당 아이디어가 전소민이 직접 보낸 것이라고 밝혔다. 멤버들은 놀람과 반가움을 감추지 못했다. 김종국이 *“소민이랑 아직 연락해요?”*라고 묻자, 제작진은 *“자주 문자도 하고 가끔 게임 아이디어도 보낸다”*고 답했다. 이에 지석진과 유재석은 *“그렇다면 직접 나와서 해야지”*라며 분위기를 더욱 흥겹게 만들었다. 전소민이 고안한 게임은 한 사람이 요리 레시피를 멜로디에 맞춰 부르고, 다른 멤버들이 그 노래에 따라 음식을 만드는 방식으로, SNS에서 유행 중인 놀이를 변형한 것이다. 그녀 특유의 센스와 텐션이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 전소민은 약 7년간 함께한 끝에 2023년 11월 **〈런닝맨〉**에서 하차하고 연기 활동에 집중해왔다. 출연 당시 엉뚱하고 유쾌한 매력으로 많은 애칭을 얻으며 사랑받았고, 악성 댓글이나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멤버들과의 끈끈한 우정을 이어왔다. 그녀가 여전히 프로그램에 아이디어를 전하며 교류하고 있다는 사실에 시청자들은 “컴백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소민이 없는 런닝맨은 허전하다”, “여전히 프로그램을 지켜보는 게 느껴진다, 꼭 돌아와 달라”, *“이건 그냥 컴백 힌트지”*라는 반응이 이어졌다.
photo

분실한 휴대전화·지갑 되찾은 한국인 관광객…베트남 경찰 신속 대응

2025년 9월 7일, 베트남 꽝남성 – 베트남 꽝남성 귀년동(Quy Nhon Dong) 지역 경찰이 현지에서 여행 중이던 한국인 관광객이 분실한 휴대전화와 지갑을 신속히 찾아 돌려주었다.
08-09-2025 예술 활동
photo

호이안에서 가게 주인이 건넨 따뜻한 한 끼에 감동한 한국인 관광객  

호이안의 한 보석 가게 주인에게 점심을 대접받은 한국인 관광객 소피아 최(21)는 “마치 집에서 먹는 것처럼 따뜻했다”며 잊지 못할 추억을 남겼다고 전했다.  
08-09-2025 예술 활동
photo

새 조사: “극단적 이념 대립”이 한국 국가 이미지에 가장 부정적 영향

새 조사: “극단적 이념 대립”이 한국 국가 이미지에 가장 부정적 영향 최근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의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이미지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극단적 이념 대립”**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참여자 중 80% 이상이 이 문제를 1순위로 꼽았다. 이번 조사는 406명(한국인 203명, 외국인 2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이념 갈등 외에도 한국인들은 “사회 갈등이 자주 발생한다”(41.87%) “과도한 경쟁과 긴장 문화”(29.06%) 를 부정적 요인으로 지적했다. 외국인들도 유사하게, 각각 **30.05%**와 **27.09%**가 이 두 가지 문제를 선택했다. 반대로 **“한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한국인(94.58%)과 외국인(93.10%) 모두 **“한류”**라고 답했으며, K-pop, 영화, 드라마가 국가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꼽혔다. 또한, 한국인들은 **첨단 IT 인프라(52.71%)**와 **안전한 사회(25.62%)**를 높이 평가한 반면, 외국인들은 **전통적 요소(41.87%)**와 그 다음으로 **기술(32.02%)**을 중요시했다. 최근 한류의 확산은 국가 이미지 향상에 큰 역할을 했으며, 넷플릭스 전 세계 1위를 기록한 “K-pop Demon Hunters”, K-pop 글로벌 투어,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향후 K-culture의 방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전통과 현대, 한국적 요소와 세계적 요소의 결합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온라인 스트리밍(OTT) 영화·드라마가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미래 준비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 교육과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quang-cao